[Tip] Pkg> “build” 명령어 사용 주의

Julia package 모드 즉 Pkg> 모드에서 build 사용시 build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경우 package 전부를 빌드 하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TensorFlow의 경우 옵션 설정이나 커스텀 빌드를 통해 빌드된 경우 기존에 설치된 tensorflow library들을 덮어 쓰게 되고 새롭게 빌드된 라이브러리는 cpu모드로 빌드 되기 때문에 gpu를 지원 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아래 글을 참조하여 다시 …

[Tip] Pkg> “build” 명령어 사용 주의 더 보기 »

[Tip] 2019.12.10 – GLMakie v0.0.9 precompile 에러 및 대처방법

2019.12.10 현재 Package update시 GLMakie가 0.0.9 버전으로 업데이트 되는데 precompile시 IndirectArray를 못 찾는다는 에러가 발생한다 0.0.9 버전이 안정화 될 때 까지 0.0.8버전을 설치하고 사용한다. 0.0.8 버전 설치 precompile까지 잘 되었으면 아래 코드를 실행 했을 때 그래프가 잘 나오면 된다.

[Julia] Julia Programming for Operations Research : Chap 6-1 예제

책 Julia Programming for Operations Research 2/e 의 chapter 6의 The Minimal-Cost Network-Flow Problem 예제 코드를 조금 수정한 버전 입니다. Optimizer를 GLPK 대신 Gurobi를 사용 했고 일부 코드를 조금 더 심플하게 바꾸었습니다. 예제는 Jupyter notebook 입니다. 파일은 –> 여기 데이터 파일은 -> 여기 , 여기 파일에서 아래 부문의 실행 시간이 11.8 초로 꽤 길게 나오는데 …

[Julia] Julia Programming for Operations Research : Chap 6-1 예제 더 보기 »

[Julia] Gurobi sample 1 with JuMP 0.19

최근 JuMP 0.19 버전에서 Model(with_optimizer(…))에서 향 후 with_optimizer 가 deprecated 될 예정이어서 새로운 사용법이 필요 하여 아래에 예제를 게제 함 (참고 : http://www.juliaopt.org/JuMP.jl/dev/installation/ ) 결과 참조 : http://www.juliaopt.org/JuMP.jl/dev/installation/

[Tip] Gurobi optimizer 설치 및 Academic 라이선스 파일 생성

gurobi의 가격이 1user당 $10,000이다 보니 학생 신분으로 얻을 수 있는 Academic 라이선스가 아니면 엄두가 나지 않는다. 비즈니스 trial 30일 라이선스 신청도 시간이 오래 걸린다. 아카데미 라이선스는 학교 다니는 주변 지인이 있는 경우 쉽게 얻을 수 있다. 아주 쉽게 나도 어찌어찌 아카데미 라이스선를 발급 받을 수 있는 키( 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 )를 얻게 되었는데 실제 라이선스 파일 발급은 …

[Tip] Gurobi optimizer 설치 및 Academic 라이선스 파일 생성 더 보기 »

[Tip] Julia에 TensorFlow 커스텀 빌드 및 설치

Julia에 TensorFlow을 설치시 특히 GPU 지원 버전 설치시 내 서버에 설치된 cuda 버전과 추가한 tensorflow build 버전이 맞지 않는 경우 커스텀으로 tensorflow를 빌드 하고 후속 작업을 해야 한다. 먼저 Julia TensorFlow 패키지를 설치 하고 GPU 버전으로 컴파일 한다. 빌드된 TensorFlow 이미지는 예를 들어 /home/shpark/.julia/packages/TensorFlow/JljDB/deps/usr/bin 에 생성된다. 정상적으로 생성되면 아래 두개의 파일이 생성된다 Julia에서 아래 코드를 …

[Tip] Julia에 TensorFlow 커스텀 빌드 및 설치 더 보기 »

[Tip] Julia UI Framework : WebIO 설치 및 테스트

julia에서 webio 설치는 Pkg>add WebIO를 하면 된다. WebIO를 jupyter notebook에서 사용하는데 문제가 있는 경우 기존의 extenstion 을 삭제하고 다시 설치 하고 jupyter notebook을 재기동 한다.기존 extension 삭제 줄리아를 실행하고 webio jupyter extension을 설치 한다. example code : https://github.com/JuliaGizmos/WebIO.jl/blob/master/examples/jupyter-demo.ipynb 실행결과 화면

[Tip] mobaXterm : X-Window Client

Window에서 Linux서버를 연결하여 서버의 UI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경우 예를 들어 xclac등을 실행하면 window 상에서 표시되는데 이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mobaXterm”이 가장 무난하고 좋다 Xming의 경우 GLX 1.3 이상을 요구 하는 프로그램인 경우 동작하지 않는다. mobaXterm URL : https://mobaxterm.mobatek.net/ 위 사이트에서 무료 버전을 받아 사용하면 된다. 아래 설치하는 “glmark2″는 GLX version 1.3 이상을 욕구는 프로그램으로 무료버전 Xming(6.9.0)에서는 …

[Tip] mobaXterm : X-Window Client 더 보기 »